경북도와 김천시가 최근 김천도립의료원에 분만실과 신생아실, 산후조리원을 건립하는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김천제일병원 산후조리원이 얼마 전 문을 닫고 분만실마저 폐쇄할 상황이 벌어지자 행정당국이 다급하게 조치한 것이다. 인구 14만의 김천시가 인구 늘리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가 오히려 뒤통수를 맞는 격이 됐다.

김천시와 경북도가 김천의료원에 분만실, 신생아실, 산후조리원을 설치하는 방안을 협의, 대책을 마련했다. 물론 시설 비용 등 경비는 김천시가 대는 조건이다.

출산환경 조성을 위해 김천의료원이 시설을 갖추기로 했지만 의료인력 수급이 변수다.

현재 산부인과 전문의가 1명뿐인 김천의료원이 분만실과 신생아실을 24시간 운영하려면 최소한 산부인과 전문의 2명과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2명, 간호사 10명 이상이 추가로 필요하다고 한다.

그런데 중소도시에 근무하기를 희망하는 전문의가 잘 없다. 게다가 간호사 구하기도 만만치 않다. 이런 상황에서 적정 인력수급은 발등의 불이 됐다.

김천의료원은 분만실을 운영하다가 거듭된 적자를 이기지 못해 2002년 문을 닫았다. 지난해 말에는 그나마 남아있던 김천제일병원이 적자 누적으로 산후조리원과 분만실을 폐쇄키로 했다. 지역 신생아를 위한 시설이 모두 문을 닫는 최악의 상황을 초래하게 된 것.

이 같은 상황을 잘 알고 있는 김천시가 1억 원의 시설비 및 운영비 지원책을 내놓았으나 의회가 조례 제정에 제동을 걸었다. 민간병원에 예산을 지원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시 의원의 반대 때문이었다.

여론이 좋지 않자 반대했던 시 의원은 병원에 대한 지원보다는 산모에 대한 직접 지원을 전제로 예산 문제를 양보, 해결됐다.

김천시의 경우 연간 1천100명의 신생아 중 김천제일병원이 330명을 담당해왔다고 한다. 대책이 없다면 아기는 모두 구미나 대구에 가서 낳아야 할 처지다. 산모와 보호자 모두에게 큰 부담이 된다.

이 같은 문제는 인구절벽의 위기를 맞고 있는 경북 도내 상당수 중소도시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이다. 농촌 지역에는 아예 산부인과가 없는 지역이 많다. 적절한 의료 시설 조성 및 인력 배치가 시급한 상황이다.

경북도는 시군별로 현황을 파악해 권역별로 산부인과 병원 및 분만실과 산후조리원 등을 갖추도록 하는 등 아기 낳기 좋은 환경 조성을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정부가 출생률 저하에 따른 출산장려정책에 천문학적인 재정을 투입하는 마당에 중소도시의 출산환경 조성을 위해 경북도와 지자체도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홍석봉 기자 dghong@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