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세종대왕이 한글을 반포한 1446년 이후 572년째를 맞는 ‘한글날’이다. 한글은 군주가 말을 글로 표현하지 못하는 백성의 간절함을 헤아려 누구나 배우고 읽기 쉽도록 만든 애민정신이 깃든 언어다.
한글은 남북한, 해외동포 등 8천만 명이 이용하는 세계 13위권 언어다. 해외에서도 강좌가 개설돼 배우고 익히려는 사람들이 부지기수다. 한글은, 자국 문자를 사용하는 나라가 전 세계 30여 개국에 불과한 지금 우리 민족에게는 세계 어디에 내놔도 뒤지지 않을 긍지와 자부심을 심어준다.
한글날은 1970년 법정 공휴일로 출발, 1990년까지 20년간 지속됐다. 그러나 휴일이 너무 많아 경제 도약에 지장이 있다는 이유로 한때 공휴일에서 제외됐다. 하지만 한글 창제 배경과 문화사적 의의는 전 국민이 알아야 한다는 뜻에서 2012년 공휴일로 재지정했다.
한글은 인류가 발명한 문자 중 누가 언제 창제했는지가 명확하게 밝혀진 문자 가운데 하나다. 소리를 들리는 그대로 표현할 수 있는 제자(制字) 원리의 우수성은 오늘날 컴퓨터, SNS시대의 문자 입력에 알맞아 2009년 세계 아홉 번째로 국제공개어로 채택됐다.
한글은 우리 민족의 정체성과 공동체 유지에도 중요한 수단이다. 한 민족의 동질감은 공통의 언어 사용이 밑바탕이다. 한글이 자랑스럽고 소중한 이유다. 그런데 우수한 한글을 우리는 평소 얼마나 알고 소중하게 여기고 있는지 되묻고 싶어진다. 최근 SNS 사용이 늘면서 국적 불명의 신조어가 난무하고 있다.
젊은 층들은 뜻이 모호한 줄임말과 다국적 언어를 거리낌 없이 주고받기도 한다. 한글을 경시하고 영어 등 외래어를 무분별하게 숭상하는 풍조도 시간이 갈수록 강해지고 있다. 일부 매스컴의 영향력도 적지 않다.
소통하기 어려운 언어가 난립할수록 사회 각계각층의 단절이 심화할 것은 너무도 뻔하다. 이런 현상은 결코 가볍게 보아 넘길 일이 아니다. 지금은 한글 창제의 본래 의미를 되살리고 소중함을 다시금 일깨울 때다. 한글에는 우리 민족 고유의 얼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나라를 빼앗긴 일제강점기 36년간 우리 말과 글을 몰래 가르치고 배울 수 있었기에 민족의 얼을 보존할 수 있었다. 한글이 창제된 덕분에 우리 국민은 전 세계에서 가장 낮은 문맹률과 가장 높은 교육수준을 자랑할 수 있는 것이다.
개성 넘치는 우리 민족 특유의 전통과 문화도 한글 덕분에 유지, 발전시켜올 수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오늘은 한민족의 위대한 유산인 한글에 담긴 소중한 의미를 되짚어보는 날이 돼야 한다.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