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취수원의 낙동강 구미공단 상류 지점 이전 문제를 놓고 대구, 구미 간 갈등을 빚은 지 벌써 10년이 다돼 간다. 두 도시 간 서로 다른 입장 차로 해묵은 취수원 이전이라는 과제는 거의 해결이 요원한 상황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구시는 수돗물의 70%를 낙동강에서 취수한다. 그러나 취수원이 구미공단 하류에 자리해 상류 34㎞의 구미공단 배출수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다. 1991년 낙동강 페놀 사고 등 구미국가산단 수질오염사고 이후 혹시 또 발생할지 모른다는 불안감이 팽배한 것도 이 때문이다.
대구시민들은 구미공단 배출 유해 화학물질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낙동강으로 유입되면 취수원인 문산ㆍ매곡취수장 수질이 안전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이 때문에 구미공단 상류 해평취수장으로 취수원을 이전한다면 안전한 물을 먹을 수 있다며 이전을 주장해오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구미시는 해평취수장 수량이 줄어들면 수질이 나빠질 수 있고 공단 물 부족과 상수원보호구역 확장 등 피해가 있다며 반대 입장이다. 이 문제는 원만한 해결을 위해 구미시 제안으로 구성한 구미ㆍ대구 민관협의회의 9차 회의를 통해 공동건의문을 정부에 제출한 상태다. 국무총리실도 현재 취수원을 두고 양 도시 간 갈등 해소를 위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고 한다.
이런 상황에서 대구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이 취수원 이전에 힘을 모아 기대감을 키워주고 있다. 지난달 17일 대구 북구 고성동 대구도시공사 대강당에서 출범한 ‘취수원이전 범시민추진위’는 새마을회, 주민자치회 등 대구지역 102개 단체가 참여했다. 참여한 시민ㆍ사회 단체가 지금까지 접하지 못할 정도로 그 수가 많은 것은 깨끗한 식수원과 함께 물 문제 영구 해결을 바라는 대구시민들의 의지로 읽힌다.
대구시민들은 1991년 페놀 사태 이후 9차례나 수질오염 사고를 겪는 등 물 문제로 30여 년간 고통을 겪고 있다. 차일피일 시일만 끌고 있는 당국의 해결에 앞서 스스로 해결을 선언한 것은 시민사회운동 차원에서도 의미가 적지 않아 보이다. 공동선언문도 추진위 구성 이유에 대해 “고착 상태에 놓인 취수원 이전을 시민사회의 힘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이라고 명시했다.
대구시민들이 스스로 물 문제 해결에 나선 이 같은 사례는 국내외 보기 드문 일로 받아들여진다. 앞으로 취수원 이전 100만 명 서명운동, 범시민결의대회 등을 펼친다고 하니 성과가 기대된다. 취수원 이전은 대구시민의 미래 생존권이 달린 중요한 문제다. 모쪼록 대구시민들이 참다못해 팔 걷고 나선 추진위 활동이 소기의 성과를 달성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