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전 치매를 앓던 80대 노인이 실종돼 가족들이 애태운다는 TV보도가 있었다. 지난달 2일 집을 나가 인근 대학 구내 CCTV에 마지막 모습만 남긴 채 사라진 것으로 알려졌다. 종적은 물론 생사조차 모르는 가족의 심경이 충분히 이해된다.
급속한 고령화로 날로 늘어나는 치매환자가 걱정이다. 국내 실종 신고된 치매환자는 4만5천여 명에 이른다고 한다. 65세 이상 인구 중 치매환자는 2050년 270만 명, 비율은 15.1%로 올라갈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노인 7명 중 1명꼴로 치매환자가 되는 셈이다.
경제적 부담도 걱정이다. 현재 치매 관리비용은 13조6천억 원으로 국내총생산(GDP)의 0.83%에 불과하지만 2050년이면 106조5천억 원으로 3.8%를 차지할 것으로 알려졌다. 치매는 이미 전 세계적인 난제로 떠올라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신규 환자가 해마다 1천만 명씩 늘어나 2050년이면 1억3천15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1995년 치매관리법을 제정, 이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다지고 있다. 환자와 가족만의 고통이 아닌, 정부와 전 국민의 해결 과제로 인식한 것이다.
노인 인구는 전 국민의 14%를 넘어섰다. 이에 따른 치매 유병률은 10%에 이른다. 노인 10명 중 1명이 치매환자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우리 국민의 인식 수준은 너무 낮다. 부끄럽거나 숨기고 싶기 때문일 것이다.
치매환자는 가족은 물론 지인조차 못 알아본다. 배우자나 자녀를 괴롭혀 가정을 풍비박산 내기도 한다. 비싸게 고용한 간병인이 일손을 놓는 경우도 허다하다. 부부가 백년해로는커녕 상대를 살해하고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사건도 비일비재하다.
60세 이상 노인 치매검사 무료 등 나온 정책을 보면 치매환자 관리에 대한 정부의 고심도 충분히 읽힌다. 문제는 사각지대 방치된 치매환자다. 가족만이 돌보는 처지에서 고통은 사라질 수 없다. 치매는 늙어갈 수밖에 없는 인간의 숙명이다. 아무리 건강해도 벗어나지 못한다. 발병률을 낮추려는 연구가 거듭되고 있지만 치료제 개발은 아직도 멀다.
대구시도 치매 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한 지 오래다. ‘치매가 있어도 살기 아름다운 도시, 치매로부터 자유로워지는 도시’가 현 모토다. 치매 관리에 상당한 역량을 쌓았다고 판단된다. 적지않은 성과 도출도 기대된다. 치매로 인한 어두운 그림자는 이제 사라져야 한다. 그렇다면 부정적 인식보다는 환자와 가족 돌봄, 고통 경감을 우선해야 한다.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