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끝> 조양회관 터

▲ 대구 중구 달성공원 앞에 자리한 달성빌딩. 이곳은 광복을 맞아 대구에서 처음 ‘대한 독립만세’를 외쳤던 조양회관이 있던 자리지만 안내 표지판조차 없다. 사진 오른쪽은 1909년 조선통감 이토 히로부미와 함께 경상도 지방을 순행한 순종황제 동상.
▲ 대구 중구 달성공원 앞에 자리한 달성빌딩. 이곳은 광복을 맞아 대구에서 처음 ‘대한 독립만세’를 외쳤던 조양회관이 있던 자리지만 안내 표지판조차 없다. 사진 오른쪽은 1909년 조선통감 이토 히로부미와 함께 경상도 지방을 순행한 순종황제 동상.

20일 오전 10시 대구 중구 달성공원 순종동상 앞. 화려한 대례복을 차려입은 순종동상 옆에는 오래된 옛 원화여고의 건물이 있다.
지금은 달성빌딩이 자리한 이곳은 사실 독립운동의 성지 조양회관이 있었던 터다.
아침 조(朝), 볕 양(陽). ‘조선의 빛을 본다’는 독립의지를 이름으로 삼은 조양회관은 그 이름답게 1945년 8월15일 조국의 광복 소식을 대구에서 가장 먼저 알게 된 곳이다.
당시 조양회관에서 민족의식을 키워가고 있던 청년들은 거리로 뛰어나와 ‘만세’, ‘대한 독립만세’를 외쳤다고 한다.
이처럼 대구ㆍ경북 청년들이 모여 민족사상을 기르고 계몽운동을 펼친 것은 물론 광복을 맞아 대구에서 처음 대한 독립만세를 외쳤던 곳이다.
하지만 그 흔한 ‘○○○터가 있었던 곳’이라는 안내표지판조차 없다.
조양회관 터 위에 있는 달성빌딩에는 만물상, 식당, 자동차부품 대리점 등이 자리 잡고 있어 일제 강점기 대구청년들의 독립운동 중심활동지라고 상상하기 어려웠다.
조양회관 터에서 상가를 운영하고 있는 김모(52)씨는 “옛 원화여고 건물로만 알고 있다”며 “20년간 장사하면서 조양회관이란 이름은 들어본 적이 없다”면서 의아해했다.
반면 1909년 조선통감 이토 히로부미와 함께 경상도 지방을 순행한 순종황제의 동상은 제대로 관리가 되고 있었다.
순행 자체가 일본이 조선의 왕을 앞세워 일본에 저항하는 백성에게 순응할 것을 전하려는 의도였다고 한다. 더욱이 달성공원 내 천황 요배전 앞에서 기생 공연을 관람한 순종을 위한 동상이 독립운동의 성지에 지어지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는 것이 독립운동정신계승사업회 관계자의 설명이다.
조양회관은 대구의 대표적인 독립운동가 동암 서상일 선생이 거의 홀로 짓다시피 했다.
1917년 만주 등지에서 독립운동을 하던 동암은 귀국해 3ㆍ1운동에 참여했다가 내란죄로 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됐다. 이후 감옥에서 출소 후 인재 양성과 국민의식 진작이 민족의 진정한 독립을 회복하는 길이라는 생각에 고향인 대구로 내려와 1922년 조양회관을 지었다.
이후 동암은 조양회관을 대구 청년들의 정신적 구심지로 만들었다. 1천여 명을 수용할 수 있는 대강당뿐만 아니라 회의실, 인쇄공장, 사진부 등을 갖춘 조양회관에는 각종 강연회가 줄을 이었고 밤에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야학도 했다.
조양회관은 현재 동구 효목동에 있는 망우당공원에 복원돼 있다.
이대영 독립운동정신계승사업회 사무처장은 “조양회관이 망우당공원으로 원형 그대로 복원된 것은 큰 의의가 있지만 대구의 청년들이 민족의식을 일깨우며 독립의지를 불태웠던 본래의 터는 거의 버려지다시피 했다”며 “조양회관의 옛 터에도 역사적 사실을 알리는 표지나 안내판 등을 갖춰 항일 독립운동 유적지를 되살려야 한다”고 말했다. 김현수 기자 khsoo@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